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아기 이유식 거부 이유와 해결법 및 대응 방법

by july-kwon 2025. 7. 14.

아기 이유식 거부

 

이유식 초기에는 잘 먹던 아기가 어느 순간부터 입을 다물고 고개를 젖히며 이유식을 거부하는 상황, 많은 부모들이 겪는 대표적인 육아 스트레스 중 하나입니다.

하지만 단순히 입맛의 문제만이 아닌, 아기의 발달 단계, 감정 표현, 환경 요소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이유식 거부의 원인을 5가지로 정리하고, 각각에 맞는 실질적 해결법과 부모의 대응 팁을 안내합니다. 식사 전쟁이 아닌, 식사 즐거움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.

1. 이유식 거부, 꼭 문제일까?

✅ 성장 과정에서 흔한 일

  • 생후 6~24개월 사이 아기들의 이유식 거부는 매우 흔한 현상입니다.
  • 이유식 중기(7~9개월), 후기(10~12개월), 완료기(12~15개월)로 갈수록 스스로 먹으려는 욕구가 강해지고, 엄마의 먹이기 방식에 저항하는 행동도 자연스럽게 증가합니다.

✅ 정상적인 발달의 일부

  • 이유식 거부는 단지 “싫어서”가 아니라 “내가 결정하고 싶어서”일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9개월~18개월은 자율성 발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로, 음식 선택, 먹는 속도, 수저 사용 등에서 주도권을 갖고 싶어 합니다.

2. 이유식 거부의 5가지 주요 원인과 해결법

① 배가 고프지 않음 (스케줄 문제)

  • 수유나 간식 후 시간이 충분히 지나지 않으면 배가 차 있어 이유식을 거부합니다.

✅ 해결법

  • 수유 후 최소 2시간 이상 텀을 두고 이유식을 제공
  • 간식, 물 섭취 시간도 조절
  • 식사 전 활동으로 에너지 소비 유도

② 입맛·질감 변화 (발달 단계 변화)

  • 중기 이후 아기는 매끄러운 이유식보다 씹는 감촉 있는 음식을 더 좋아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한 가지 질감이 반복되면 입에 넣기 전부터 거부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.

✅ 해결법

  • 이유식의 농도와 입자를 단계에 맞게 조절
  • 고운 죽 → 으깬 상태 → 다진 상태 → 부드러운 반찬 순으로 자연스럽게 이행
  • 모양, 온도, 색을 바꿔주는 것도 효과적

③ 강요하거나 조급하게 먹이기

  • “한 입만 더”, “다 먹어야지”라는 말이 반복되면 아기는 식사 자체를 부담이나 압박으로 인식합니다.

✅ 해결법

  • 먹는 양보다 식사 분위기와 경험 자체에 초점
  • 15~20분 안에 자율적으로 먹게 한 후 남기더라도 식사 종료
  • 부모의 감정이 긴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

④ 스스로 먹고 싶어 하는 자율성 욕구

  • 손으로 집어 먹기, 숟가락을 들고 흔들기, 바닥에 던지기 등은 먹기보다 해보고 싶은 욕구입니다.

✅ 해결법

  • 혼자 먹을 기회를 자주 제공
  • 손으로 먹기 좋은 스틱형 이유식이나 부드러운 반찬 활용
  • 숟가락 2개 제공: 하나는 아기가 들고, 하나는 부모가 보조

⑤ 환경적 자극 (장소·소리·화면 등)

  • TV 소리, 휴대폰 영상, 급한 분위기 등은 아기의 주의를 분산시켜 식욕을 저하시킵니다.

✅ 해결법

  • 같은 장소에서 조용한 분위기로 식사
  • TV, 스마트폰 사용 금지
  • 아기 의자에 앉혀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세팅

3. 부모가 실수하기 쉬운 행동 TOP 3

잘못된 대응 결과 대안
억지로 먹이기 식사 = 스트레스 먹을 의향 없으면 중단
양으로 평가하기 자존감 저하, 거부 강화 시도 자체를 칭찬
영상 보여주기 의존, 집중력 저하 시각 자극 없는 환경 유지

4. 아기 이유식 거부 시 부모의 긍정 대응법

✅ 대화와 리액션을 줄이고 ‘기다리기’

  • 말이 많아질수록 아기는 먹기보다 부모 반응에 집중하게 됩니다.
  • 조용히 지켜봐 주고, 먹을 때 작게 웃어주거나 눈 마주치기만으로도 충분합니다.

✅ 식사 시간의 일관성 유지

  • 같은 시간, 같은 장소, 같은 의자에 앉히는 습관
  • 식사 → 정리 → 마무리까지 일정 루틴 유지

✅ 하루 전체 섭취량으로 보기

  • 한 끼 안 먹는 건 괜찮습니다.
  • 하루 총 섭취량(모유/분유 + 이유식 + 간식)이 중요합니다.
  • 활동성, 기분, 배변이 정상이라면 큰 문제 아닐 수 있습니다.

이유식 거부는 ‘발달’이지 ‘문제’가 아닙니다

아기가 이유식을 거부한다고 해서 반드시 식습관에 문제가 있다거나 부모가 잘못하고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.

오히려 이 시기는 아기가 세상을 조절하고자 하는 첫 시도, 의사 표현이 시작된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중요한 건 ‘어떻게 먹이느냐’보다 ‘어떤 경험으로 식사를 기억하게 하느냐’입니다.

지금 아기가 식사를 통해 느끼는 감정이 즐거움과 안정감으로 채워진다면, 조금 늦더라도 아이는 결국 스스로 잘 먹게 됩니다.